본문 바로가기

실험실/이론

옴의 법칙이란?, 저항의 색띠 읽는 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옴의 법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옴의 법칙의 발견은 19세기에 독일 과학자 옴이 일정한 온도 하에서 도체를 흐르는 전류는 도체 양단의 전압에 비례한다는 사실을 발견했으며, 그 비례상수를 저항이라고 했습니다.

 

저항이란 전류가 흐르는 것을 막는 작용을 하는것으로 단위는 옴이고, 1옴은 1v의 전압을 가할 때 1A의 전류가 흐르는 도체의 저항입니다.

 

저항, 전류, 전압의 비례를 공식으로 표현하면

 

V=IR

 

 

이를 이용해 3옴의 저항과 9v의 전압을 갖는다 하면 측정값을 공식에 대입하여 전류는 3A를 갖는다는것을 알게 됩니다.

 

 

 

추가로 세라믹 저항을 보면 색띠가 4개 혹은 5개가 있는게 있습니다.

그 색띠를 보면 쉽게 저항값을 알수있는데요, 4개는 일반저항, 5개짜리는 정밀 저항입니다

 

 

사진을 보시면 금색과 은색띠 있는쪽이 오차범위이고, 그밑으로 가장 밑에 있는 띠는 숫자를 읽을때 가장 앞에 있는 수이고, 두번째 띠는 두번째 수를 읽는 것 입니다. 요기서 3번띠가 있는 저항은 정밀 저항일때이고, 보통 4줄짜리는 바로 승수가 됩니다. 승수는 X의 몇 승 이런식으로 됩니다.

위의 사진의 저항값을 보면 1번띠 초록 -> 5, 2번띠 파랑-> 6, 승수 노랑-> 4, 오차등급 금색-> +- 5%로 56X10의 4승 즉 560000Ω으로 단위를 바꿔서 560KΩ 이 됩니다.

 

다음에는 전자기 유도에 대해 올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실험실 >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자기 유도 -렌츠, 패러데이 법칙  (0) 2018.06.27
전자공학이란?  (0) 2017.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