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험실/이론

전자기 유도 -렌츠, 패러데이 법칙

안녕하세요, Hyperion입니다.

예전에 만들었던 블로그에서 이곳으로 이사하고 있는 중이므로 그전 블로그 글을 삭제하고 요기에 다시 올리겠습니다.

 

  

◎ 전자기 유도의 발견 : 1831년 영국 과학자 패러데이가 코일과 자석을 이용한 실험 중 자석이나 코일을 움직여서 처음으로 회로에 전류가 흐르게 했다.

 

◎ 전자기 유도 : 코일과 자석이 상대적으로 운동하면 전류가 발생하고, 속력이 빠를수록 전류가 더 많이 생성된다. 이처럼 코일과 자석사이에 상대적인 운동으로 전류가 유도되는 것을 전자기 유도라고 한다. 코일 양단에 발생된 기전력(기전력이란? 전위가 다른 2점간에서는 전위가 높은 쪽으로부터 낮은 쪽으로 전기를 이동시키려는 힘을 뜻한다.)을 유도 기전럭이라 한다. 유도 기전력에 의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유도 전류라고 한다.

 

◎ 렌츠 법칙 : 도선으로 이루어진 닫힌 회로 내에 생긴 유도 전류는 닫힌 회로를 지나는 자기력선속이 변하는 것을 방해하는 방향으로 흐른다.

 

◎ 유도 전류의 방향과 세기 : 코일에 자석 N극이 접근할 때 접근하는 쪽은 N극, 반대쪽은 S극을 만드는 자기력선이 생기도록 한다. 자석의 S극이 접근할 때 접근하는 쪽은 S극, 반대쪽은 N극을 만드는 자기력선이 생긴다. 코일에서 자석이 멀어질 때는 접근할 때와 다른 방향으로 유도 전류가 흐른다.

자석과 코일의 상대 운동에 관계되는 유도 전류의 세기는 운동 속력이 빠를수록 유도 전류가 세 진다.

 

◎ 패러데이 법칙 : 유도 기전력의 크기는 코일 속을 지나는 자기력선속의 시간적 변화율에 비례하고, 코일의 감은 수에 비례한다. 이를 패러데이의 전자기 유도 법칙이라 한다.

 

 유도 기전력을 V, 코일의 총 감은 수를 N 시간 동안에 코일을 통과하는 자기력선속의 변화량을 라고 하면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여기서 (-)는 유도 전류가 코일을 관통하는 자기력선속 의 변화의 반대 방향으로 흐른다는 렌츠의 법칙을 의미한다.



현재 저희집 컴퓨터에서 뭐가 실행이 안된다면서 사진을 첨부할수없어서 관련 사진을 못 넣었습니다. 나중에 컴을 바꾸면 사진을 넣겠습니다.

'실험실 >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